•─차량 정보방──• /다이와 정비

점화플러그 교체방법.

뉘앙스™ 2006. 8. 12. 14:48
            점화플러그 분리 장착

 

1. 배터리 마이너스 터미널을 분리합니다.

2. 하이텐션 코드(플러그 배선)를 조심스럽게 분리합니다.

3. 스파크 플러그 구멍으로 먼지나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조심합니다.

    압축공기로 불어내면 좋습니다.

4. 스파크 플러그 소켓(16mm)을 사용하여 분리합니다.

5. 스파크 플러그를 규정 토크로 체결합니다(체결토크 2.5~3.0 kg-m)

    너무 쎄게 조이면 플러그 간극이 좁혀져 점화곤란합니다.

6. 플러그 배선을 번호에 맞게 꼿아줍니다

7. 배터리 마이너스 터미널을 체결합니다.

 

..................................................................................................................

 


점화플러그 또는 스파크 플러그는 최초 시동시 실린더 내부에 연료와
공기가 혼합될 때 점화불꽃을 발생시켜 시동을 걸수 있게 하며
계속적으로 시동성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4기통의 엔진에는 각실린더마다 4개의 플러그가
6기통의 엔진에는 6개의 플러그가 장착되게 됩니다.



점화 플러그가 불량하면 무엇보다 엔진의 연소상태가 나쁘게 되어
연료소비를 촉진시켜 연비를 증가시키고 매연을 발생하여 이로 인해
엔진힘을 떨어뜨리게 됩니다.


  점화플러그는 소모성 부품이므로 주기적으로 교체가 필요합니다.
통상적으로(일반차량의 경우) 교체시기는 20000~30000KM마다
교체를 해주어야 합니다.

최고급 차종에 많이 장착되는 백금플러그의 경우에는 100000KM의
내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교체시엔 반드시 증상이 나쁜 1개의 플러그만 교체해주기 보다는
Set로 모두 교체해주는게 바람직 합니다.

또한 점화코일에서 발생된 불꽃을 점화플러그까지 전달해주는
플러그 배선도 점화 플러그를 2번정도 교체할 때마다 한번 교체
해주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배선의 특성상 일정기간 주행을 하게 되면 배선의 피복밖으로 전기 불꽃이 방전이 되어 점화 상태을 약화시키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플러그배선이 나쁜경우 점화플러그가 나쁜것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며 고속주행시 보단 서행시 울컥거리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차량 정보방──• > 다이와 정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진 교체...  (0) 2006.08.20
LED 쉽게 따라하기...  (0) 2006.08.12
접지튜닝 및 포인트...  (0) 2006.08.12
트로틀 바디킷 청소요령.  (0) 2006.07.20
엔터프라이즈 접지포인트...  (0) 2006.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