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퓰러 미케닉스라는 잡지의 마이크 엘런 에디터가 보여주는 급발진시 대처 요령입니다.
참고로 위 영상에 나오는 차는 2010년형 토요타 캠리로 Brake Throttle Interlock 시스템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지 않은 차량입니다.
그외 급발진을 막기위해 BOS(Brake Override System)란 시스템이 나오는데 이는 급발진시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을 밟으면 연료 공급을 끊어 속도를 줄여주는 장비가 최신 자동차에 장착되어 있습니다. 위의 토요타 캠리에는 BOS 가 장착되어 있지 않습니다.
급발진시 엔진 스로틀 밸브가 열려 엔진 회전수는 급격히 올라가게 되고 차는 급발진합니다.
이때 브레이크를 꽉 밟으면 차는 서게 되어 있답니다. 그 이유는 브레이크 밟는 힘이 엔진 힘보다 크기 때문이며 보통때보다 정지거리가 길긴 하지만 서는데는 문제가 없다고 합니다.
두번째로 급발진시 기어 레버를 간단히 중립으로 놓으면 엔진은 미친듯이 회전수가 올라가나 동력이 끊기므로 차는 더 이상 전진하지 않게 됩니다.
---------------------------------------------------------------------------------------------------
여기까지가 위의 동영상에 대한 설명이고 급발진시 가속 패달을 브레이크 패달로 알고 실수로 밟은 것인지 브레이크 패달을 밟았는데도 불구하고 차가 가속됐는지를 구분하기란 힘들거란 생각입니다.
다만 두번째 방법인 급발진시 기어를 중립에 놓으면 기계적으로 동력이 끊기므로 새겨 봐야 할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혹 급발진시 기어를 중립에 놔도 급발진이 계속되는지는 모르겠으나 이게 상식적으로는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참고로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할것이 바로 시동키를 끄는(잠그는) 행위입니다. 이렇게 되면 핸들이 잠기게 되고 잠기지 않더라도 요즘 나오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이 장착된 차는 갑자기 핸들이 무거워져 매우 위험하게 됩니다. 또한 자동차중에 전동 브레이크가 장착된 차량은 브레이크 밟는 힘이 줄어들게 되므로 절대로 시동키를 끄면 안됩니다.
자신의 차가 언제 급발진할지 모르므로 위의 대처 요령을 잘 기억해 두고 '급발진시 기어 중립에 놓고 브레이크 밟는다, 급발진시 기어 중립에 놓고 브레이크 밟는다' 식으로 마인드 콘트롤 해 두면 위기시에 써먹을 수 있다고 봅니다.
'•─차량 정보방──• > 차 관리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어컨 가스는 꼭 무게를 달아 넣으세요 (0) | 2012.06.30 |
---|---|
[Why] 내비게이션 지도는 어떻게 만들까 (0) | 2012.06.07 |
면허종별 운전범위 (0) | 2011.03.15 |
차종별 타이어 적정 공기압 (0) | 2010.09.27 |
중고차 거래시 구비서류 (0) | 2009.07.29 |